상식

정유주 투자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정제마진 (Refining Margin)

오일전문가 2021. 4. 3. 23:08
728x90
반응형

정유주 투자 중이거나 계획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개념이 있다. 바로 정제마진 (Refining Margin).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에 정제마진을 설명한 영상이 있고 또 매주 업데이트한 정제마진 현황을 영상으로 알려주고 있지만 댓글로 항상 반복되는 질문: 정제마진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본인의 설명이 부족해서 그런 것으로 받아들이고 다시 한 번 설명을 하려고 한다.

일반적인 정유 공장 개념도 (불어로 되어 있지만 그림으로 대략 이해하리라고 생각한다)

우선  정유공장은 원유를 외부에서 도입한 후 이를 정제하여 나온 각종 정제품 (LPG, 휘발유, 디젤, 항공유, 벙커C, 아스팔트 등등)을 판매한다. 정유사가 이익이 나려면 판매한 정제품 가격의 합이 외부에서 도입한 원유의 가격보다 높아야 한다. 원유 가격과 정제품 가격의 차이가 바로 정제마진이다.

정제마진: 정제품 평균 판매 가격  -  원유 가격

정제마진은 처리한 원유 배럴당 (1배럴 = 158.984 리터) 몇 달러로 표기되는데 정제를 하는데에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략 배럴당 $4 ~ $6은 넘어야 순이익이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은 대략 다음을 포함한다.

  • 각종 유틸리티 (스팀, Fuel, 전기  등등)
  • 촉매 비용 (감가상각)
  • 인건비용
  • 기타 비용

정유공장에서 원유를 단순 정제만 하는 것은 아니고 촉매를 활용한 각종 공정에서 이익이 많이 발생하는 정제품 (예를 들어 디젤이나 휘발유)의 비율을 인위적으로 늘리는 경우가 많다. 즉, 두 개의 다른 정유 공장이 같은 원유를 도입하여 처리하더라도 공장의 공정 구성에 따라 나오는 제품 비율, 예를 들어 휘발유나 디젤의 생산 비율이 다르다는 것이다.

더 쉽게 얘기하자면 SK에너지와 S-OIL 공장에 같은 원유를 처리해도 나오는 휘발유나 디젤의 생산 비율이 다르다.

기업마다 도입하는 원유 종이 다르고 (Arabian Light, Arabian Super Light, Arabian Medium 등 엄청나게 많은 원유 종 (Type)이 있다) 원유 도입 가격도 다 다르고, 정유 공장의 공정 구성도 다르고, 사용하는 촉매도 다르고, 공장 유틸리티 비용도 다 다르고, 정제품 실제 판매가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전 세계 모든 정유공장의 정제마진은 모두 다 다르다.

현재의 정확한 정제마진이 얼마인지는 모두 본인들 수치 밖에 모르며 외부인은 절대 알 수가 없다. 정확한 값은 알 수 없지만 대략적인 추세는 모두 같기 때문에 본인의 경우 한국석유공사에서 매일 공개하는 원유 가격와 정제품 가격의 평균을 가지고 계산한다.

한국석유공사에 나와있는 원유가격
한국석유공사에 나와 있는 정제품 가격

우리나라의 경우 도입하는 원유 대부분이 중동산이므로 원유 가격은 그냥 두바이유를 사용한다. 우리나라 정유사의 경우 정제품 가격은 싱가포르 현물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함으로 한국석유공사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정제품 가격의 평균을 사용한다.

단순 추정 정제마진: (정제품 평균 가격)  -  (두바이유 가격)

쉬울수도 어려울 수도 있는 개념이지만 정유사에 투자 중이거나 계획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개념이다.

PS: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에 단순 추정 정제마진 트렌드를 매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